금융의 언어 이해하기 (16) 썸네일형 리스트형 [재무제표] 현금흐름 이해하기 기업의 이익잉여금과 현금 이익잉여금과 기업이 가진 현금은 같지않음 이익잉여금의 일부는 계속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확장하기 위한 재투자로 소비됨 ① 재고자산을 구매 ② 유형자산을 취득 ③ 배당등 주주에게 이익 공유 이익이 발생하여 쌓인 현금은 재무제표상 그대로 ‘현금’으로 남아있지 않다는 의미 또, 수익은 발생했지만 아직 현금이 회수되지 않은 ‘매출채권’ 등도 현금이 덜 쌓이는 원인 ※ 우량기업은 매출채권 회수 주기가 짧고, 많이 쌓이지 않음 ◉ CAPEX(Capital expenditures):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 기업이 고정자산을 구매하거나, 유효수명이 다한 기존의 고정자산에 돈이 투자될 때 발생 회사가 장비, 토지, 건물 등의 물질자산을 획득하거나 이를 개량할 때 회계에서 자산계정.. [재무제표] 기초 용어 이익과 부채 평가 지표 ◉ 경상이익 = 영업이익(영업수익-영업비용) + 영업외 수익 - 영업외 비용 ◼︎ 영업외 수익 : 회사의 활동에서 생기는 수익 중 정규 영업에 기인하지 않는 것 수취이자, 할인료나 수취 배당금을 비롯해서 유가증권이자, 유가증권 매각 수익, 유가증권평가수익, 매입할인, 잡수입 ◼︎ 영업외 비용 : 회사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비용 중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사용된 것을 제외한 비용. 주로 지불이자, 할인료나 사채이자 등과 같이 금융상의 비용이 많음 ◉ 특별 이익 : 기업의 본 영업활동 이외에 우발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 투자자산 이익, 채무면제 이익, 보험차익, 기타 특별이익 등 ◉ 매출액 경상이익률 = 경상이익 ÷ 매출액 × 100 금융수익과 비용을 포함하여 100만 원을 팔았을.. [개념정리] 증자/감자 감자 : 무상감자, 유상감자 ►► 자본금이 감소 증자 : 무상증자, 유상증자 ►► 자본금이 증가 자본금 = 액면가 ✖️ 주식수 자본 = 자본금 ➕ (자본/이익) 잉여금 or 결손금 자산 = 자본 ➕ 부채 *자본 잉여금 : 주주와 주식거래로 생긴 금액 *이익 잉여금 : 영업활동이나 재무활동으로 생긴 금액 ❁ 무상감자 1. 손해를 메우려고 함 2. 주주들이 손해를 본다 3. 주식시장에서 악재로 작용한다. 주주에게 보상없이 자본금을 줄인다. 10주 → 5주로 줄어듦 그러나 보상해주지 않음 자본금 1000만원으로 사업 시작 (주식수: 10000주 X 액면가:1000원) 돈을 벌었다면 이익잉여금, 그러나 손해를 봐서 결손금이 500만원 발생함 자본금 1000만원에서 결손금 500만원을 메꿔야 함 [어려운 말로 =..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왜 (+)(-)(-) 가 좋은가?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란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표 현금 흐름표는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우량 기업은 현금흐름표가 (+)(-)(-) 로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기억을 돕기 위해 과장해서 표현했다. 영업활동에 의한 현금 유입은 매출·이익·예금이자·배당수입 등이 있고 매입, 판공비 지출, 대출이자 비용, 법인세 등으로 유출된다. ⇢ (+) 영업활동 현금흐름 = (매출+이익+예금이자+배당수입...) ≫ (매입+판관비+대출이자+법인세등...) 제품 잘팔림 !! 영업 잘함!! 기본 중의 기본 투자활동에 의한 현금유출은 유가증권·토지 매입, 예금 등이 있고, 유가증권·토지 매각 등으로 인해 유입된다. ⇢ (-) 투..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