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iary

(6)
[2022.09.28] 내핵 뚫고 로우킥 그렇다. 내핵까지 보게 되었다. 맞겠지? 흉흉한 폭락장을 기록해둔다. 지난 9월 22일 미연준의 0.75% 금리 인상과 향후에도 금리 인상에 대한 강한 의지로 달러 몸값만 오르고 모든 자산이 박살이 나고 있다. 지금 승자는 킹달러 🤑 무위험 수익률이 3.25% 면 주식은 기대 수익률을 얼마까지 올려야 하는 거냐,, 자산 탈출 러쉬다. 현금을 쟁여두고 다가오는 대 바닥을 기다리는 것인지? 미국 금리 3.25%, 한국 금리는 2.5% 로 다음 달 10월 12일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금리 상승은 자명하다. 주담대 금리 어디까지 올라갈까 두렵다. 미국 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 역전은 지난여름 이후 지속되고 있다. 국채 금리 움직임이 가파르고 심상치가 않다. 미장 지수는 버티는 것처럼 보여도 200주 지지선에 ..
[2022.06.13] 바닥 다음 지하, 지하 다음 마그마 지난 금요일(2022.06.10) 미국 CPI 가 다시 한번 최악을 경신하면서 기대 인플레이션과 스태크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극으로 치달았다. 성장 기술주 중심으로 시장이 또 박살 나고 있다. 나스닥과 연동된 국장도 오늘 급락을 했다. 살아있는 것은 달러정도다. * 美 5월 CPI YoY +8.6% : 시장 예상치(+8.3%) 상회, 41년만에 최고치 기록 * Fed Watch : 6월 FOMC(14~15일) 75bp 인상 확률 급등 (6/6, 3.1% → 6/13, 23.6%) 바닥인줄 알았더니 기어이 마그마를 보는구나. 이러다 내핵까지 보려나 ㅠㅠ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2022년 5월에 예기치 않게 8.6%로 가속화되었으며, 이는 1981년 12월 이후 가장 높으며 8.3%의 시장 예측에 비해 ..
[2022.05.15] 최악의 바닥을 지나가는 중 일까 ? 지난주 충격적인 사건과 하락이 있었기에 기록을 남긴다. 올해 내내 흘러내리는 시장이 잠시 반등하는 척하다가 다시 지난주 무섭게 급락을 했다. 크립토발 위기가 주식 시장까지 영향을 미쳐 다 같이 엘리베이터를 탔다. 다행히 목, 금 이틀간 하락세가 멈췄지만 아직 끝난 건지 어떤 건지 알 수 없다. 모든 시장이 매우 불확실하다. 공포/탐욕 지수가 6으로 한 자리 인것을 두 눈으로 생생하게 확인하긴 처음이었다. 애플마저 하루에 -5% 하락하는 그림이 나오고, 마음 놓고 두 발 뻗고 자기가 참 어려웠다. 공포/탐욕 지수가 한자리 일 때 주식을 담는 다는 것은 생각보다 정말 어려운 일이다. 포트가 이미 깨질대로 깨진 상태라 무엇을 더 담는다는 생각 자체가 들지 않았다. 그리고 정말 이런 때 담으려면 기업에 대한 대..
[2022.04.14] 불확실성 안개 속 급등락의 반복 주식을 친구로 곁에 두면 하루하루 변덕이 죽 끓는 상대방의 기분에 의연해지는 마음 수련이 필요한 것 같다. 변동성을 즐기며 높은 파도에서도 자유롭게 유영하는 날을 상상하지만 아직은 롤코를 탄 것처럼 멀미가 난다. 1) 2022년 3월 31일에 미국 10년물, 2년물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1-2년 후 경기침체가 왔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대해 설왕설래가 많아졌다. 이것이 캔 피셔님이 말씀하신 "이번에는 다르다" 의 현상인지 시간이 지나고 확인을 해야 할 것 같다. 다만 모든 현상이 발생하는 속도가 이전 보다 빨라서 이번 한 해는 조심 또 조심하면서 보수적으로 자산을 지켜야 할 것 같은 어지러운 환경이다. 2) 이번주 발표된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8.5%로 41년 만의 최고치라..
[2022.02.24] 전쟁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2월 24일 목요일, 오후 7시 금리 인상 이슈로 투자 심리가 계속 안 좋았고, 🥶 국장은 지난해 말부터 줄줄 흐르기만 했는데 ( 혹시 내 계좌만..? ) 전쟁 이슈까지 겹치면서 오늘은 전 세계 증시가 폭망 중이다. 바닥인가? 응 아냐 ~ 지하실로 ... 😵 유가는 100달라를 왔다 갔다 하면서 가뜩이나 무서운 인플레이션에 불을 지펴주고 있고, 그러므로 시장은 금리 인상이 더 빠르게 진행될 거라 판단하고 있는 것 같다. 어쩌면 정말 7월까지 100bp 가 올라갈지도 모른다. 용감한 개인 고객님들이 오늘 1조가 넘게 매수를 해주셨다. ㅉㄷ 외인, 기관늄들은 팔팔 투ㅕ투ㅕ 😤 공포 탐욕지수는 27로 코로나19 당시 무려 3이었다고 하니 27 은 아직 양호한 수준인가?? 더 내려갈 룸이 남은 것인가..
[2022.01.25] 조정장 진입 ㅊ맞는 시장의 흐름을 기억하기 위해 글을 남긴다. 다들 그랬다. 천천히 계단 타고 올라가서 엘리베이터 타고 내려온다고.. 오늘은 대체 몇층 일까아아아아? 국장, 미장, 코인장까지 모든 장이 조정 중이라 내 멘탈은 너덜덜. 지수가 고점대비 10% 하락하면 조정장에 진입했다고들 한다. 각잡고 공부하면서 처음 ㅊ맞는 조정장이다. 오를땐 생각보다 더 오르고 떨어질 땐 생각보다 더 떨이지고 [국장] 최저점은 2020년 3월 코로나 대박살 때임. 오늘 시총 상위 100종목 중 98개 하락 52W 고점 대비 YTD PER 코스피 -17.96% -8.98% 코스닥 -16.25% -14.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