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의 언어 이해하기

[재무제표] 기초 용어

Riisu 2022. 2. 11. 23:35
728x90
이익과 부채 평가 지표

 

◉ 경상이익 = 영업이익(영업수익-영업비용) + 영업외 수익 - 영업외 비용

 

◼︎ 영업외 수익 : 회사의 활동에서 생기는 수익 중 정규 영업에 기인하지 않는 것 

수취이자, 할인료나 수취 배당금을 비롯해서 유가증권이자, 유가증권 매각 수익, 유가증권평가수익, 매입할인, 잡수입

 

◼︎ 영업외 비용 : 회사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비용 중 정상적인 영업활동에 사용된 것을 제외한 비용. 

주로 지불이자, 할인료나 사채이자 등과 같이 금융상의 비용이 많음

 

◉ 특별 이익 : 기업의 본 영업활동 이외에 우발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익

투자자산 이익, 채무면제 이익, 보험차익, 기타 특별이익 등

 

◉ 매출액 경상이익률 = 경상이익 ÷ 매출액 × 100

금융수익과 비용을 포함하여 100만 원을 팔았을 때 얼마가 남는지를 알려주는 비율

높을수록 장사를 잘했다는 의미 

 

◉ PSR = 주가 ÷ 주당 매출액

현재 기업의 가치가 매출액에 비해 몇 배가 되는지를 알려주는 비율

높을수록 고평가 되었다는 의미

 

◉ ROA = 당기순이익 ÷ 평균 총자산 × 100

ROE가 자기 자본으로 얼마나 벌었는지를 나타낸다면, ROA는 부채까지 포함하여 총자산으로 얼마나 벌었나를 보여주는 비율

높을수록 자산으로 효율적인 사업을 하고 있다는 의미

 

◉ 금융비용부담률 = 이자비용 ÷ 매출액 × 100

100원 팔았을 때, 이 가운데 이자로 내는 비용이 얼마인지를 보여주는 비율

높을수록 이자로 새어 나가는 비용이 많다는 의미

 

◉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기자본 × 100

부채가 자기 자본의 몇 배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

높을수록 재무구조가 부실하다는 의미

 

◉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1년 이내의 단기부채로 나눈 값으로, 단기채무에 대한 지급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높을수록 유동성 위기가 적다는 의미

 

◉ 유보율 = (자기 자본-자본금+자기 주식) ÷ 자본금 × 100

사업을 통해 창업 시기부터 지금까지 자본금이 얼마나 벌어들였는지를 나타내는 비율

높을수록 그동안 주주가치를 많이 창출했다는 의미

 

◉ EBITDA = 세전 영업이익 + 유형자산 감가상각

당기순이익이 감가상각과 이자비용, 세금을 제하고 나온 수치이기 때문에 실제 영업을 얼마나 잘했나를 평가하기 힘들 때가 있음

이를 보정하기 위해 영업이익에 실제로 현금유출이 발생하지 않은 감가상각을 더해서 구한 수치 

 

◉ ROIC = 세후순영업이익(NOPAT) ÷ 영업투하자본(IC)

 

대차대조표 

 

회사가 채권자와 주주로부터 끌어 쓴 돈이 그 해말에 어떤 형태로 남아 있는가를 알려줌

자산 = 부채 + 자본

 

◉ 자산 : 회사의 재산

현금, 주식, 공장, 토지 등 여러 형태로 존재하는 재산을 현금으로 바꾸기 쉬운 순서로 배치한 것이 대차대조표

현금으로 바꾸기 쉽다 ⇢ 유동성이 높다 

1년 내 현금으로 바꿀 수 있다 ⇢ 유동자산 

1년 현금화 어렵다 ⇢ 고정자산

▷ 유동자산이 많은 편이 돈이 묶이지 않고 잘 흘러간다는 측면에서 바람직 

 

◼︎ 부채 : 남에게 빌려온 돈

1년을 기준으로 1년 내 갚아야 하면 ⇢ 유동부채

1년 넘어서 갚아야 하면 ⇢ 고정부채 

 

◼︎ 자본 : 자기 돈, 순재산

밑천은 자본금, 장사를 하면서 지금껏 모은 돈은 이익잉여금

이것들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자본잉여금.

자본은 주주의 돈 

 

손익계산서 

 

일정한 기간에 벌어들인 돈을 기록해놓은 표

제품과 서비스를 팔고 받은 돈을 모두 합친 매출액을 기준으로 비용을 하나씩 빼나 가는 구조

 

◉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재료비, 임금, 판촉비/광고비)

실제 장사를 해서 얼마나 남겼나 

 

◉ 경상이익 = 영업이익 + 영업외 수입(이자, 배당금) - 지급이자 

이자에 관한 사항이 이 수치를 좌우하기 때문에 대차대조표의 부채 계정과 연관이 있음 

 

◉ 당기순이익 = 경상이익 + 특별이익(부동산 처분등) - 특별손실(화재 등) - 법인세

말 그대로 순이익 

 

이익을 자세히 구별하지 않으면 장사는 잘 했는데 이자가 너무 많아 이익이 적게 나오는 등의 수익 구조를 알아낼 없음 

손익계산서는 결국 기업이 돈을 많이 벌고 있는가 아닌가를 나타냄

 

 

 출처 :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