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

주식투자 절대원칙 - 박영옥

Riisu 2023. 7. 19. 21:30
728x90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해야 할 질문

 

 

① 기업이 속한 산업의 향후 전망은 어떠한가? 

업종 자체가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다면 투자하기 좋은 기업이라 할 수 없음 

한국에는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이 많으니 세계적 동향도 살펴야 함, 5년 정도의 전망이 적당함 

시클리컬 기업의 경우 성장기-정체기-성장기로 가는 주기가 5년 정도임 

산업 현황을 가장 잘 파악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보다 해당 업계 종사자임 

애널리스트들의 산업 리포트도 비교적 객관적이라 신뢰하는 편임

종목 리포트는 매도 의견을 내지 않는 게 불문율, 리포트가 거의 나오지 않는 종목은 사실상 매도 의견이라 봐야함

산업 리포트도 업종 리포트가 나오지 않는 경우 대다수의 애널리스트가 해당 업종의 전망을 어둡게 보고 있다는 의미

업종 관련 뉴스도 빼놓지 않고 섭렵해야 함, 다만 모든 데이터는 의도가 있으니 주장 너머의 숫자와 정확한 백 데이터를 바탕으로 판단해야함 

 

 

② 비지니스 모델이 명확한가? 

비지니스 모델이 단순하고 명료해야 함. 그 기업이 돈 버는 법을 한 문장 이내로 간단히 설명할 수 있으면 좋음 

비지니스 모델에는 자회사 구조도 포함됨, 자회사로 기업 이익이 빠져나갈 수도 있고, 한 곳이 어려워져서 다른 곳까지 무너질 수도 있음 

업종 내 1등 기업이라고 해도 어떤 무기로 1등이 되었는지 파악해야 함, 1등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도 분석해야 함

ex: 기술 개발을 활발히 하나, 영업망 확충이나 새로운 판매 모델을 시도하나, 직원 복리후생이나 교육 수준은 어떤가

 

 

③ 재무구조가 안정적이고 심플한가?

사업보고서를 꼭 탐독해야함, 10년 치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는 반드시 파악

재무 회계 지식이 없다면 관련 서적 한두 권은 읽고 재무제표에서 파악할 핵심사항이 무엇인지 알아야 함 

대개 심플하지 못한 재무구조 기업들은 BW, CB 등을 통해 자주 자금 조달을 함, 자금 조달은 몇 년 후에는 반드시 이익으로 연결되어야 함 

 

 

④ 적정한 수준의 배당을 해왔는가?

나는 배당을 중요하게 생각함. 배당을 줄 수 있다는 것은 기업이 꾸준히 이익을 냈다는 긍정적 신호임

시장 상황이 좋지 않아 주가가 떨어져도 배당은 그 시기를 견디는 버팀목이 됨

무엇보다 배당을 성실히, 매년 소폭이라도 높인다는 것은 주주를 대하는 기업의 태도와 관련이 있음

 

 

⑤ 공시를 성실하게 하는가?

작전세력의 농간으로 갑자기 급등하는데 그 후에 대뜸 주가급등 사유 없음 이라는 공시가 뜨기도 함 

주가 부양을 위한 허위 공시도 있음, 주가 급등 후 계약 무산등의 공시를 냄 

실적이 부실한 기업이 수주 계약 등 호재가 될 만한 공시를 자주 한다면 의심해야 함 

 

 

⑥ 경영자가 누구인가?

경영자에게는 경영에 필요한 기본 능력뿐 아니라 사명감, 열정, 신념, 절박함, 간절함 등이 두루 필요함

성공의 트랙 레코드도 중요함

오너 경영자라 불리는 대주주 경영인 체제하의 중소기업 중 충실히 이익을 내는데도 주가가 오르지 않고 거래량도 극히 적은 경우가 있음, 이들은 적절한 이익으로 일가가 따듯하게 지내는 데만 관심이 있음. 주가가 올라봐야 승계할 때 세금만 많이 내야해서 주가 부양이 관심이 없음.

경영자를 파악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인터뷰 기사나 유튜브에 올라온 인터뷰 영상 등을 보는 것

기사의 경우 대개 광고의 일환이므로 기사 이면의 숨은 키워드를 찾아내야 함

그 사람이 자주 사용하는 단어가 그 사람의 취약점일 수도 있음

기업설명회나 주총 같은 공식적인 자리에서 행동을 관찰하는 것도 도움이 됨, 큰 행사에서 돌발 상황이 생길 때 대처 방식을 보면 자질을 파악할 수 있음,  직원에게 권위적으로 대하거나 제왕적 군림한다면 솔선수범 리더로 보기는 어려움 

 

 

 

⑦ (최종 질문)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평가되어 있는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