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데이터
마이데이터 란 ?
2022년 1월 부터 마이데이터 정식서비스가 시작됨
◉ 정의
- 정보의 주체인 내가 나의 개인데이터에 대한 열람, 제공 범위, 접근 승인 등을 직접 결정하는 것
- 개인 정보 활용의 권한을 보장, 여러 기관에 흩어져있던 개인의 데이터 주권을 본래의 주인인 개인이 확립하는 패러다임
- 그동안 기업에게 있었던 데이터 권한을 개인에게 이전시킴
- 고객 데이터 주권이 개인에게 전환됨
- 금융사, 통신사 또는 병원 등 여러 기관에 분산되어 있는 개인의 정보를 한 곳에 모아 개인의 승인하에 제3의 서비스 사업자에게 제공이 가능하고 해당 데이터들의 가공 및 활용을 통해 여러 신사업이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
◉ 주요 이해 관계자
- 고객(개인) : 마이데이터 사업자를 통해 자신의 데이터 열람을 요청
- 마이데이터 사업자: 고객을 대신하여 정보 제공자로부터 정보 수신 고객에게 조회 서비스 제공, 데이터를 결합하여 2차 서비스 제공, 본인 신용정보 관리업에 대하여 금융위원회로부터 허가를 받은 자
- 정보 제공자: 정보제공자는 고객 전송 요구가 있을 경우 고객의 지시에 따라 개인 신용정보를 전송할 의무 있음
- 중계기관: 마이데이터 API요청에 중소형 정보제공자를 대신하여 고객의 정보를 중계하는 신용정 보법상 기관
◉ 마이데이터 핵심
- API 전송방식 : 표준성과 보안성 우수
- 가명 정보 : 개인을 식별할 수없어서 사생활 침해 없이 관련 정보를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 성별/소득 등 자세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활용 가능
마이데이터 발전 단계
◼︎ 0단계: 조회 - 스마트폰(또는 컴퓨터) 으로 기관 홈페이지(또는 앱)에 접속해서 정보를 열람하는 수준
◼︎ 1단계 : 저장 - 나에 관한 데이터를 내려 받아 정장하는 수준, 초기 단계
정보주체에 대한 인증/데이터의 안전한 저장・보관・폐기 방안 마련 중요
의료분야 '나의건강기록 앱' 통해 정보주체가 자료를 열람・다운 할 수 있음, 2~3단계로 발전을 위해 본격적인 3자 전송요구 '마이헬스웨이 플랫폼' 사업 추진 중
[1.5단계]
공공분야 : 본인 정보를 데이터세트 형태로 특정 제3자에 제공, cf. 8개 데이터세트를 신용회복위원회, 소상공인진흥공단에 제공
공공부문의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는 공공 마이데이터 유통체계 구축 추진 예정
통신분야 : 정보주체의 요구가 있는 경우 요금납부정보를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자에게 전송 가능
◼︎ 2단계 : 전송요구 - 한 기관에서 다른 기관으로 내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요구하고 이를 이행하는 단계
자료전송 과정에서의 암호화, 정보 수신・활용자 데이터의 저장・관리 안정성 중요
◼︎ 3단계 : 대리활용 - 전송요구를 통해 내 데이터를 한 곳으로 모은 후,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사업자 허가등을 거쳐 본격적 서비스 제공
◼︎ 4단계 : 전분야 확산 - 본인의 적극적 관리・통제 하에 모든 분야에서 내 데이터를 내 뜻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활용하는 단계
보안의 중요성
신용정보법은 금융 마이데이터 사업자에게 금융회사 수준의 높은 정보・보안 의무 부여
기존 신용정보회사 등에 비해 강화된 개인 정보보호・보안 수준의 허가요건 요구
기존 신용정보회사 등과 유사한 수준의 정보보호・안전성 관리의무 부과
마이데이터 신사업/서비스
현재 금융서비스가 가장 활발하지만 금융뿐 아니라 전 산업군으로 확산 전망
국내 데이터 산업 성장성
2020년 기준 국내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는 19.3조 원, 2018년~2020년 CAGR 11.3%
데이터 보안 산업도 성장 전망
개인의 모든 금융, 의료등의 정보가 활용되는 마이데이터 산업에서 데이터 유출은 더욱 큰 비용을 치르게 됨
정부는 마이데이터 사업자 허가를 할 때 보안 사항을 법제화하여 관리
사이버 보안 시장은 ‘20년 1560억 달러 → ‘26년 3520억 달러로 CAGR 14.5% 성장 전망
마이데이터 산업 벨류체인
구분 | 기업명 |
API플랫폼 제공(인프라) | 쿠콘 |
핑거 | |
보안솔루션 (인프라) | 아톤 |
의료 플랫폼 제공(인프라) | 아이티아이즈 |
마이데이터 서비스 | 민앤지 |
유비벨록스 |
출처 : 마이데이터 산업 - 유진투자증권,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정책